손톱

두꺼운 손톱, 조갑백선(손톱 무좀)과의 감별 포인트

NailCareNote 2025. 7. 28. 00:00

손톱이 두꺼워지고 갈라지며 색이 탁해졌다면, 단순히 나이 탓이라 넘기기 쉽습니다.
하지만 이런 변화가 지속된다면 곰팡이 감염인 조갑백선일 가능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두꺼운 손톱의 원인은 다양하며, 정확한 감별이 회복의 시작입니다.

두꺼운 손톱, 조갑백선(손톱 무좀)과의 감별 포인트

손톱이 두꺼워지는 대표 원인, 조갑백선

조갑백선은 흔히 ‘손톱 무좀’이라 불리며, 곰팡이(진균)가 손톱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처음에는 손톱 색이 노랗거나 흰빛으로 흐릿하게 변하면서 점차 두꺼워지고, 끝이 갈라지며 부스러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손톱이 들뜨고 모양이 울퉁불퉁해지는 경우도 많으며, 심한 경우 통증이나 불쾌한 냄새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감염은 대개 발톱에서 먼저 시작되지만, 손톱으로도 옮겨올 수 있습니다.
특히 손을 물에 자주 담그는 직업군이나 당뇨, 면역 저하 상태에 있는 분들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조갑백선은 시간이 지나면 자연 회복되지 않으며, 전문적인 항진균제 치료가 필요합니다.

건강한 손톱은 투명하고 부드러우며, 일정한 속도로 자라지만 조갑백선이 생기면 손톱 자체가 단단해지며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집니다.
때문에 단순한 외상이나 노화와는 구별되는 형태가 뚜렷하게 나타납니다.

조갑백선 외에 의심할 수 있는 질환들

손톱이 두꺼워진다고 해서 항상 곰팡이 감염은 아닙니다.
건선(psoriasis), 아토피 피부염, 조갑건조증 등 피부질환과 동반되는 손톱 변화에서도 두꺼운 손톱이 나타납니다.
이 경우 손톱이 비늘처럼 일어나거나, 오목하게 패인 점(putting), 손톱 밑 출혈, 갈라짐 등이 함께 관찰됩니다.

또한 반복적인 외상이나 압박이 가해질 경우 손톱 뿌리에 손상이 생기면서 구조가 비정상적으로 바뀌어 두꺼워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불편한 신발을 오래 신었을 때 생기는 발톱 변화와 유사하게, 손톱도 지속적인 자극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간혹 말초혈관 질환, 갑상선 기능 이상, 영양 결핍도 손톱 두께와 질감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색 변화보다는 전반적인 손톱 성장 지연이나 윤기 감소가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곰팡이 감염과는 양상이 다릅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병원에서 손톱 조각을 채취하여 현미경 검사(KOH 검사) 또는 배양 검사를 통해 진균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치료하고 관리해야 할까?

조갑백선으로 진단되면 경구용 또는 바르는 항진균제가 필요합니다.
초기에는 바르는 약만으로도 호전될 수 있지만, 감염이 손톱 뿌리까지 퍼졌다면 3개월 이상 장기 복용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중에는 손톱을 짧게 유지하고, 건조하게 관리하며, 감염 부위를 긁거나 뜯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 다음과 같은 생활습관이 도움이 됩니다.

  • 손과 발을 항상 깨끗하고 건조하게 유지
  • 수건이나 손톱깎이 등 위생용품은 가족과 따로 사용
  • 손톱 손질 도구는 사용 후 소독
  • 네일 제품(젤, 인조손톱 등)은 치료 중 피하기
  • 신발이나 장갑은 통풍이 잘되도록 선택

두꺼운 손톱은 보기만의 문제를 넘어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외형 변화가 갑작스럽거나 통증이 동반된다면, 병원 진료를 통해 원인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방치하면 손톱 기능은 물론 주변 조직까지 손상될 수 있기에 빠른 대처가 필요합니다.